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논문준비4

SCI(E) 국외 학술 논문 투고시 리뷰어 선정방법 (feat ChatGPT) 새로운 논문을 준비하며 문뜩 리뷰어를 찾아보던중.. 궁금하여 지-선생님한테 물어보았습니다 그런데 답변이 생각보다 놀라웠습니다,, 사실 제가 3-4년전 선배에게 들었던 말 그대로였거든요. 여러분들도 읽어보시고 그러한지 아닌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_ _ (꾸벅) 역시 지--맨 Q: 재료공학 학술논문 투고시 리뷰어를 선정하는 방법을 알려줘 원론적인 말 말고 사람들이 불편해할 수 있는 진실을 포함해서 알려줘. A: 학술논문을 투고할 때 리뷰어를 선정하는 과정은 연구자가 논문 출판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원칙적 방법과 함께, 잘 알려지지 않은 현실적인 고려사항이 포함됩니다.1. 연구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리뷰어 선택원칙: 리뷰어는 논문이 다루는.. 2024. 9. 3.
[석박통합 10기 시작의 기로에서] 7번째 논문을 준비하며.. 블로그에 글을 적지 못한지 많은 시간이 흘렀습니다.  6번째 논문을 방문학생때의 해외 지도교수님의 도움을 받아 그럭저럭 좋은 저널 (IF~9)에 게재하면서 안도의 한숨을 돌리면서도 계속해서 실적 요구를 하시는 지도교수님,, 물론 많은 실적은 도움이 되겠지만 그동안 없었던 빅 저널 페이퍼를 도전하려고 합니다.  재료공학이라 나름 많은 수의 논문을 작성했지만 임팩트가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올해 더 좋은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셀프 다짐을 해봅니다.. ㅠㅠ 2024. 8. 5.
논문/보고서/문서/word에서 마이너스(–, -) 부호 표기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도 많이 헷갈렸던 논문(혹은 보고서)에서 마이너스 부호 표기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마이너스 부호는 수학, 과학, 엔지니어링 및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표기 요소 중 하나입니다. 정확한 표기법을 사용하여 정보의 명확성과 정확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마이너스 기호(–) vs. 하이픈(-) 많은 사람들이 텍스트에서 마이너스 부호 대신 하이픈을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하이픈은 단어의 분리나 연결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수학적 또는 과학적 의미에서는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2. 엔대쉬(en dash)와 마이너스 부호(–)의 차이 엔대쉬와 마이너스 부호의 길이와 사용 용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마이너스 부호는 일반적으로 숫자.. 2023. 8. 9.
이공계 학술 논문 작성 관련 참고 사항 1. 저널 선택 저널을 선택할 때는 해당 분야에서 인정받고 권위 있는 저널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논문의 주제와 목적에 부합하는 저널을 찾기 위해 최근 발행된 논문들과 해당 저널의 목차를 검토합니다. 또한, 저널의 인용 지수와 영향력을 확인하여 논문이 높은 시인성과 영향력을 얻을 수 있는 저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널을 선택한 후에는 해당 저널의 투고 지침을 꼼꼼히 읽어야 하며, 템플릿을 사용하는 경우 템플릿에 맞추어 논문을 작성해야 합니다. 2.참고 논문 읽기 논문 작성에 앞서, 해당 분야의 선행 연구들을 꼼꼼히 읽고 분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현재 연구가 어떤 문제에 대해 기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논문 구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접근 방법과 기술적인 지침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 2023. 8. 5.
반응형